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공무원생활
- 문턱세
- 공무원시험연령폐지
- 공무원경험담
- 시보떡
- 산불비상근무
- 곰우원선물문화
- 지방공무원
- 공무원현직경험담
- 공무원직급보조비
- 지방공무원하는일
- 공무원시보턱
- 공무원임용
- 공무원소통
- 공무원동기
- 공무원일기
- 공무원퇴사
- 협업필수
- 나쁜동기
- 공무원일상
- 면사무소생활
- 공무원식비
- 시골공무원
- 슬기로운공무원생활
- 공무원관행
- 산불감시근무
- 신규공무원
- 공무원떡값
- 좋은동기
- 공무원악습
- Today
- Total
가히, 아름답다
지방공무원 수당, 이렇게나 많다고? | 가히다움 본문
이전 이야기
2025.01.30 - [나의 소중한 일상이야기/슬기로운 공무원 생활] - 공무원의 명절 떡값?? 얼마일까??
공무원의 명절 떡값?? 얼마일까??
안녕하세요 가히 입니다. 즐거운 명절 보내고 계신가요?오늘은 설명절을 맞아, 공무원 명절 떡값(수당)받았던 에피소드를 풀어보려합니다 :) 임용된지 얼마 되지 않아, 설명절이 되었다. 주변
queengahi.tistory.com
출근한 지 몇 달이 지나고 월급명세서를 다시 들여다보니, 처음엔 몰랐던 공무원 수당들이 눈에 들어왔다.
그냥 기본급만 받을 줄 알았는데, 세세하게 챙겨주는 수당이 이렇게 많을 줄이야! 기본급이 작아도 위로되는 부분!
처음 공무원이 되고 나서 월급명세서를 받았을 때는 기본급만 대충 확인하고 넘어갔다.
하지만 어느 날 선배 주사님이 "너 이번 달 수당 제대로 들어왔는지 확인해 봤어?"라고 묻길래, 다시 한 번 명세서를 들여다봤다.
그때부터 하나하나 찾아보기 시작했는데, 생각보다 다양한 수당이 있었다.
1. 정근수당과 정근수당 가산금
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일정 기간 이상 재직하면 받을 수 있는 수당이 바로 정근수당이다. 나도 6개월을 넘겨서 정근수당을 받기 시작했다.
정근수당은 재직기간이 1년 이상이면 본봉의 5%가 지급되며, 이후 매년 1월과 7월에 추가로 지급된다. 정근수당은 최대 본봉의 50%까지 받을 수 있었다.
연차가 오래된 주사님들은 1월과 7월의 정근수당을 꽤 기대하셨었는데, 나도 기대하고 봤더니 6만원 정도였나?
ㅎ ㅏㅎ ㅏㅎ ㅏ 정말 귀여운 금액이 들어왔다.
처음받는 정근수당은 5%였으니까...
그래도 여기에 근속 기간이 길어질수록 추가로 지급되는 정근수당 가산금까지 붙으면 갈수록 쏠쏠해지는 정근수당 :)
2. 직급보조비
이건 직급에 따라 나오는 수당인데, 공무원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경비 보조 개념이다. 사실상 월급에 플러스되는 느낌이라 나쁘지 않았다.
3. 자격증수당
행정직이 아닌 세무직, 사회복지직, 기술직 등 전문 자격증을 갖추고 해당 업무를 수행하면 자격증 수당이 나왔다.
자격증 하나당 3만원 정도의 수당이었고, 기사자격증의 경우 가산금 2만원이 붙어 월 5만원의 수당이 주어졌다.
급여명세서에서 이부분은 유심히 잘 봐야한다! 처음에 가산금이 붙지 않아, 급여담당자를 찾아가 소급적용하여 받았다!
4. 가족수당
가족이 있는 경우 지급되는 수당이다. 배우자, 자녀 수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는데, 나도 결혼을 해서 배우자 수당을 받았다.
배우자 수당은 겨우 2만원정도였는데, 지금은 4만원으로 오른것 같다. 10년동안 2만원 올랐네....;;;
5. 시간외근무수당
야근이나 초과근무를 하면 지급되는 수당인데, 9급일땐 최저시급도 안되는 금액이었다.
최저임금이 9,000원 할때도 무려 야근수당인데, 근로자법에 있는 노동자들은 그 최저시급에 1.5배라 14,000원 받을 때도 9급공무원은 겨우 7,000원 수준의 시간외근무수당이 지급되었다.
정말 일이 많아서 남아서 하는 야근이지, 돈 생각하면 일하기 싫어지곤 했다.
2025년엔 처우가 좀 개선되어 9급기준 만원은 된것 같은데, 그래도 근로자법에 비하면 아주 한참 떨어지는 건 맞다. 근로자법상 근로자는 1.5배를 받아 시간당 15,000원 정도는 받을테니까.
6. 명절휴가비
설과 추석이 다가오면 명절휴가비가 따로 나온다. 처음에는 몰랐는데, 통장에 예상보다 돈이 많아서 깜짝 놀랐다.
명절휴가비는 저번에 포스팅한대로 본봉의 60%가 지급된다.
7. 성과상여금
매년 3월쯤에는 작년의 성과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성과상여금도 있다. 일명 보너스라고 불리우는 수당 >.<
이 성과상여금은 부서의 장이 직원들의 성과를 평가하여 S, A, B, C 등급으로 나눈 후 지급된다.
성과상여금의 비율은 내부 투표를 통해 결정되며, 보통 최하위인 C등급은 본봉의 80%, 최고 등급인 S등급은 본봉의 150% 정도로 책정된다.
공무원은 사실 성과랄게 딱히 없는 공공분야이다보니 성과를 매기는게 좀 애매하다.
그래서 대부분 A등급이나 B등급 정도로 무난하게 결정되고 보통 본봉의 100%나 120%를 받았다.
대기업, 사기업은 성과상여금이 어마어마하다던데...?? 공무원은 겨우 200만원 남짓..... 조금 힘빠지네...
8. 식비보조수당
매달 일정 금액이 지급되는 식비보조수당도 있다. 급식비 개념이고 매월 14만원씩 정액 지급된다.
밥값이 나오는게 어디냐 싶지만, 14만원으론 밥값 충당은 어림도 없다.
공무원의 하루 한끼 단가는 8,000원이었다.
25년부터는 9,000원으로 올랐다던데.. 그래도 요즘 식당 한끼 단가가 10,000원은 훌쩍 넘는데 짜다 짜.
9. 대민활동수당
민원을 상대하는 업무파트에 일하면 받는 수당인데 나는 민원팀이라 이 수당을 받을수 있었다.
사실 모든 공무원은 민원을 상대하는 일인데, 민원수당을 받는 팀, 안 받는 팀이 있어서 그 기준이 무엇인가 참 아리송했다.
면사무소에서는 가장 열일하는 산업팀이 어떤 수당도 해당되지 않아 조금 억울한 면이 있다.
| 공무원 수당, 이렇게 많은데 왜 그만둬???
이렇게 하나하나 따져보니, 처음 예상했던 것보다 수당 가짓수가 많아서 새삼 놀라웠다.
이 모든 게 기본급에 비례하는 거라 공무원이 연차가 더해질수록 살만하다는 말이 무슨 말인지 알겠더라.
하지만 수당 하나당 3-5만원 남짓에, 9급과 8급은 기본급 자체가 최저임금수준이 되지 않는다.
근로자법에 나오는 최저임금 수준을 충족하려면 적어도 8급 5년차는 되어야하지 않을까....
그래서 공무원 임용 5년차 미만 신규들의 퇴사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아무리 수당이 가짓수가 많아도 실수령액을 보면 현타가 딱! 온단말이쥐....
거의 수당이 붙은 만큼, 세금과 건강보험료, 기여금(공무원연금)이 나간다.
결국, 공무원의 실수령액은 공무원 봉급표에 나오는 수준으로 받는다고 보면 된다.
블라인드에 보면, '누칼협'이라고 누가 그러게 공무원 하랬어? 라며 공무원을 선택한 사람에게 책임을 묻던데..
비합리적인 것은 개선해나가야지, 그걸 개인의 선택 탓으로만 돌리면 이 사회는 발전이 없다.
국민의 봉사자로 입직했지만,
너무 박봉이면 봉사하고 싶은 마음도
싹 사라지지 않겠어요?
다음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2025.02.06 - [나의 소중한 일상이야기/슬기로운 공무원 생활] - 떨어지는 낙엽도 조심하며 시보를 뗐더니 떡을 돌리라고요?
떨어지는 낙엽도 조심하며 시보를 뗐더니 떡을 돌리라고요?
이전 이야기2025.02.05 - [나의 소중한 일상이야기/슬기로운 공무원 생활] - 지방공무원 수당, 이렇게나 많다고? 지방공무원 수당, 이렇게나 많다고?출근한 지 몇 달이 지나고 월급명세서를 다시 들
queengahi.tistory.com
'나의 소중한 일상이야기 > 나의 공무원 10년 찐 경험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에 불이 나면 지방공무원이 불을 끈다?(이건 몰랐을 걸?) | 가히다움 (8) | 2025.02.07 |
---|---|
떨어지는 낙엽도 조심하며 시보를 뗐더니 떡을 돌리라고요? | 가히다움 (8) | 2025.02.06 |
공무원의 명절 떡값?? 얼마일까?? | 가히다움 (10) | 2025.01.30 |
네? 오늘부터 제가 담당자라고요? (제가 뭘 안다고?) | 가히다움 (26) | 2025.01.25 |
신규공무원의 필수품은 무엇일까? 임용되면 각오해! | 가히다움 (55) | 2025.01.18 |